세모오네모
  • Essay
  • Book
  • Money
  • Notion
  • Template

Archives

  • 2025년 7월
  • 2025년 6월
  • 2025년 5월
  • 2025년 4월
  • 2025년 3월
  • 2025년 2월
  • 2025년 1월
  • 2024년 12월

Categories

  • Book
  • Essay
  • Money
  • Notion
세모오네모
세모오네모
  • Essay
  • Book
  • Money
  • Notion
  • Template
  • Money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yongma
  • 2025년 07월 08일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란?

청년펀드는 「조세특례제한법」 § 91조의 20에 따른 청년형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으로 연령요건, 소득요건에 해당하는 고객이 전 금융권 한도 600만원까지 가입 가능한 소득공제 혜택 상품입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 조건 및 혜택

나이가 되고, 소득도 된다면 개설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넣을 돈이 없다고? 계좌만 개설하고 당장 안 넣어도 된다. 하지만 나중에는 소득공제 상품이 필요할만큼 연봉이 올라가고 나면 해당 정부 상품을 가입하지 못할 수도 있다. 나이, 소득, 납입 한도가 존재하는 정부 상품은 대체로 좋은 상품에 속한다. 그러니 기회가 될 때 미리 개설해놓을 것. 2023년부터 2025년까지 계속 가입 기한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언제 일몰될지 모르는 법.

구분내용
가입조건 (나이)만 19세~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3년 배제)
가입조건 (소득)총급여액 5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세 3800만원 이하
(가입 직전 3개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가입기한2025년 12월 31일까지
소득공제 혜택납입금액(연 600만원 한도)의 40%를 종합소득금액에서 소득공제
소득공제 배제총급여액 8천만원 초과 또는 종합소득금액 6천7백만원 초과시
가입 기간3년 이상 5년 이하
원금 보장 및 예금자 보호 여부해당 없음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소득공제 혜택

계좌를 개설하고,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매수하면 연말정산할 때 홈택스에서 자료가 뜬다. 연 600만원 한도의 납입금액 40%까지 소득공제가 되니 최대 24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보통 이 상품에 가입하는 사람들은 세금 구간이 15~24% 정도 될테니 소득공제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약 40만원 정도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펀드 수익률에 따라 +@도 가능. (물론 원금 손실이 가능한 펀드다보니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할 것.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수익률

실제로 가입하고 2년 넘게 굴리고 있는데 국내 장이 좋아지면서 급격히 수익률이 개선되고 있다. 자세한 내역은 아래 글을 참고.

청년소장펀드 수익률 살펴보기 (2025년 6월 기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와 IRP, 연금저축, ISA 비교

상품명세제 혜택의무 가입 기간투자 가능 상품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연 납입한도 600만원
– 연 납입한도의 40% 소득공제
– 최대 5년
3년청년소장펀드
ISA– 이자, 배당소득 중 200만원 비과세
  (서민형 : 400만원)
3년
(납입원금에 한해 중도인출 가능)
예, 적금, RP, 공모펀드, 국내상장주식/ETF/리츠,
K-OTC 거래 비상장 주식(중소, 중견기업), 채권, 파생결합증권 등
IRP– 연 납입액의 16.5%(또는 13.2%)
세액공제 (900만원 한도)
– 연금 수령 시 이자, 배당소득 저율 과세
5년
(55세 이후 연금 수령)
예, 적금, 원리금 보장 ELB, 이율 보증보험, 공모펀드, 국내 상장 ETF/리츠
연금저축펀드– 연 납입액의 16.5%(또는 13.2%)
세액공제 (600만원 한도)
– 연금 수령시 이자, 배당소득 저율 과세
5년
(55세 이후 연금 수령)
공모펀드, 국내상장ETF/리츠

청년형 소득공제 자주묻는 질문

Q1. 어느 증권사가 좋나요?
나무증권, 삼성증권을 추천하고 그 다음으로는 미래에셋을 추천. 나무증권과 삼성증권은 일간/월간 자산추이를 볼 수 있어서 편하다. 미래에셋도 일반 계좌는 가능하지만, 펀드 쪽은 잘 안 되 있어서 매번 확인하는 게 번거롭다. 그 외 증권사는 매수할 수 있는 소득공제 상품이 너무 부족하다.

Q2. 1년에 얼마 납입할까요?
여유가 있다면 600만원 모두 납입 추천. ISA와 마찬가지로 최소 3년 동안은 해지하면 안 되는 돈이다. 그래서 당장 목돈 들어갈 일이 없는 사람에게 추천. 연 600이면 월 50 정도라서 적금 대용으로 아주 괜찮다고 생각한다. 소득공제를 못 받아도 펀드 수익률이 좋으면 예적금 이자보다 훨씬 많이 받을 수도 있다. (물론 반대도 가능..)

Q3. 국내주식이나 해외주식을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낫나요?
국내 펀드 상품은 국내 주식을 50% 이상 담아야하는 것으로 안다. 상품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간접적으로 국내주식에 투자한다고 생각해도 좋다. 펀드는 주식보다는 훨씬 보수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적금처럼 납입하고 자주 안 봐도 되는 게 장점이다. 직접 투자할 경우 시장의 상승, 하락 시기에 따라 수익률이 요동치겠지만, 펀드는 일단 3년은 투자해야하니 상품 자체보다 시간이 주는 힘을 무시할 수 없다.

Q4. 가입 후 납입했는데, 돈이 필요해서 해지해야할 것 같아요.
3년 이내에 해지할 경우 총 납입액의 6.6% 추징세를 내야 한다. 예를 들어 2년간 1,000만원을 납입했다면 해지시 66만원이 부과된다. 작은 금액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까운 금액이다.

yongma

Previous Article
  • Money

2025년 06월 투자일지

  • yongma
  • 2025년 07월 01일
View Post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세모오네모
정리는 삶의 질서를 찾는 일

Input your search keywords and press Enter.